본문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1 코골이 정의와 원인
수면 중에 숨을 쉴 때 들여 마신 공기가 목구멍 속의 좁은 곳을 지나면서 공기 저항이 증가되는데, 이때 좁아진 부위가 진동하여 나는 소리가 코고는 소리입니다. 보통 코고는 습관은 잠잘 때 옆사람을 괴롭히는 주요인으로 본인에게는 크게 불편감이 없지만 심하게 코를 고는 사람들에게는 수면 무호흡이 발생하여 위험해 질 수 있습니다.
코골이 원인은 대개 중년이상의 뚱뚱하고 목이 짧고 굵은 사람에게서 자주 나타나며 남성에게 더 많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사람들은 안면구조상 턱이 짧고 안쪽으로 들어간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혀 뒤쪽의 기도가 좁아져서 코를 골게 됩니다. 또한 수면제 등의 약물을 복용하거나 과음 또는 흡연으로 코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비만한 경우 3배 이상 코골이를 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리고 비만하지 않은 어린이가 코를 고는 경우는 편도가 커져있거나 인두편도가 커지는 아데노이드 증식증 또는 만성비염에 의한 것이 90%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2 코골이 진단
자신이 코를 골거나 수면 시 무호흡을 일으키는지 알 수 없습니다. 주위 사람들의 권유로 검사를 받으러 오는 분들이 대부분으로 이를 검사하는 방법은 간이수면검사(Watch-PAT)와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가 있습니다.
수면다원검사는 하루 밤을 검사실에서 자면서 전체 수면기간 동안에 걸쳐 시행하며 아침에는 귀가하게 됩니다. 뇌파와 안구 운동, 코와 입을 통한 공기의 흐름, 가슴과 배의 호흡운동, 턱과 다리의 근전도, 코골이의 정도, 심전도, 수면 중 동맥혈 산소포화도, 수면 중 몸의 움직임 등 다양한 항목을 기록한 후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수면장애의 원인을 진단합니다.
그 외에도 의사의 진찰소견, 수면설문지검사, 심폐기능검사, 방사선 검사 등이 진단에 보조적인 도움을 주지만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지 않고 수면장애를 진단하거나 치료방침을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수면다원검사는 비용과 시간이 들고 불편하지만 코골이가 심하면서 무호흡이 관찰되고 낮에 졸음이 심하고 살이 많이 찐 사람, 그리고 잠재적으로 심각한 위험이 발생이 예측되는 공공운송 운전자, 기계를 다루는 사람,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반드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좋습니다.
03 수면무호흡증 정의
수면무호흡증이란 의학적으로 수면 중에 코와 입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10초 이상 정지하는 무호흡이 시간당 5회 이상 있거나, 7시간 이상의 수면 중 30회 이상 무호흡이 있을 경우를 말합니다. 수면무호흡증의 종류에는 중심성, 폐쇄성과 양자가 혼합 된 혼합성 수면무호흡증으로 구분합니다.
이중 90% 이상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으로 이는 수면 중 상기도 폐쇄가 일어나 발생하여 코골이가 심하고, 낮에 졸음이 심하여 주의력 산만, 조급함 등이 나타납니다. 또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목이 짧고 두꺼우며 과체중인 사람에서 흔합니다.
04 수면무호흡증과 코골이 위험성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수면 중 호흡장애는 심한 저산소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숙면을 이루지 못하고 반복적으로 잠에서 깨어나게 함으로써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통이 비정상적으로 자극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심혈관 계통에 심각한 변화를 초래 해 고혈압, 부정맥, 심근경색증, 심부전, 뇌졸중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사망률이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높으며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잠자다가 갑자기 질식감을 느끼게 되고, 복압이 높아져 잠자다 소변을 자주 보게 되며, 가슴을 쓰리게 하는 위산의 식도 역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두통, 지능감소, 성격장애 및 성기능장애 등이 동반될 수도 있습니다.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05 수면무호흡증과 코골이의 치료
1) 수술적인 방법
먼저 수술적인 방법으로는 고주파 기계를 사용하여 코 뒤나 목젖, 입천정 부위의 늘어진 점막을 줄여주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인두피판 성형술, 비강 수술 등을 통해 숨길을 넓혀주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2) 비수술적인 방법
[ 양압호흡기 ]
가장 좋은 치료법으로 알려진 장치로 코를 통해 상기도에 일정 압력의공기를 보내어 상기도를 항상 양압으로 유지시켜줌으로써 수면중에 상기도 폐색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그러나 마스크를 코에 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의 불편함과 고가의 큰 장비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습니다.
[ 구강내장치 ]
수면전문의에 의해 진단, 처방, 제작 되는 고객맞춤형 제품입니다. 환자의 구강구조, 코골이/수면무호흡 심각도 등 여러 면에서 정확한 진단 후에 제작되는 제품으로 착용의 편안함과 최상의 효과를 제공합니다. 혀와 아래턱을 앞으로 당겨 고정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며 이로 인해 수면 시 원활한 산소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코골이와 무호흡증을 개선시켜 줍니다. 코앤이비인후과에서는 치과 교정전문의와 함께 직접 자체 제작을 하게 됨으로써 가격면과 편의성에서 큰 장점이 있습니다.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

-
행수 :열수 :타입 :
-
- 현재창
- 새창
-
-
-
-
-
선색
- 실선
- 점선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1px
- 2px
- 3px
- 4px
- 5px
-
선색
-
- all
- top
- right
- bottom
- left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all
- top
- bottom
- 0px
- 5px
- 10px
- 15px
- 20px
- 25px
- 30px
- 35px
- 40px
-
- 4px
- 8px
- 10px
- 12px
- 16px
- 20px
- 30px
-
- 1.3em
- 1.5em
- 2em
- 2.2em
- 2.5em
- 3em
-